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속에 담긴 봄의 시작 – 한국과 아시아 입춘 문화 및 요리 레시피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속에 담긴 봄의 시작 – 한국과 아시아 입춘 문화 및 요리 레시피

by 인프피간호사비니빈 2025. 2. 3.
반응형
입춘대길, 건양다경 뜻 속에 담긴 봄의 시작

올해의 봄과 복을 맞이하는 날, 입춘을 알아봅시다!

따뜻한 봄을 맞이하며 행복해하는 가족의 모습

아침부터 눈발이 날리고 앙칼진 바람이 부는 날씨지만 놀랍게도 오늘은 입춘입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입춘대길의 어원과 유래, 아시아의 입춘 문화에 대해서 알려드리겠습니다.

봄의 시작을 알리는 절기, 입춘(入春)이란 무엇일까요?

입춘은 24절기 중 첫 번째 절기로, 봄의 시작을 알리는 날입니다. 2025년의 입춘은 2월 3일입니다.입춘은 예로부터 농경 사회에서 한 해의 시작을 의미하는 중요한 날이었으며, 이날 사람들은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다양한 의례를 행했습니다. 입춘대길(入春大吉)은 이러한 풍속 중 하나로, 집안에 좋은 기운이 가득하고 행운이 따르기를 바라는 마음을 담아 사용되었습니다.

💡여기서 잠깐, 입춘에 관한 흥미로운 사실!

  • 입춘은 음력으로는 섣달에 들기도 하고 정월에 들기도 합니다.
  • 태양의 황경이 315°에 와 있을 때 입춘이 됩니다.
  • 양력으로는 대개 2월 3일~2월 4일
  • 입춘이 설보다 빠르면 음력 새해가 된 뒤 입춘이 없기 때문에, 이런 해를 '봄이 없는 해',
    무춘년(無春年)이라고 부릅니다.

 

입춘 풍습의 유래: 옛 사람들의 염원을 담아

  • 입춘첩: 입춘대길(入春大吉)과 함께 건양다경(建陽多慶)과 같은 문구를 적어 대문이나 벽에 붙여 한 해의 행운을 기원합니다.
    입춘대길의 뜻 : 입춘을 맞이하여 큰 길운이 있기를 바란다
    건양다경의 뜻 : 따뜻한 기운이 감돌고 경사스러운 일이 많기를 바란다

  • 입춘굿: 제주도에서는 입춘날에 풍요와 건강을 기원하는 굿을 합니다.

  • 입춘 음식: 입춘에는 봄나물로 만든 음식을 먹으며 새봄을 맞이합니다.
    👉대표적인 입춘 음식: 비빔밥, 콩나물국, 냉이무침

이 외에도 입춘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와 풍속이 지역에 따라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아시아(중국, 일본, 베트남)의 다채로운 입춘 풍경

1. 중국

  • 입춘절: 중국에서는 입춘을 '입춘절(入春節)'이라 하여, 봄맞이 행사를 합니다.
교춘( 咬春) '봄을 깨문다'는 의미로 생 무우상추를 먹습니다.
영춘(迎春) '봄을 맞이한다'는 의미로 입춘절의 중요한 행사입니다. 영춘은 봄과 생명을 상징하는 나무의 신인 구망신을 데려오기 위한 목적을 가지고 있습니다. 
타춘우(打春牛) 뱃속에 오곡을 채우고 진흙으로 만든 소를 채찍으로 때리는 의식으로, 풍년을 기원하는 의미를 가집니다.
식춘반(食春盤)
입춘에는 봄나물로 만든 음식을 먹는 풍습이 있습니다. 대표적인 음식으로는 춘병(春饼), 춘권(春卷) 등이 있습니다.
  • 현대의 입춘절: 현대 중국에서는 입춘절을 큰 명절로 기념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많은 사람들이 입춘을 맞아 봄맞이 행사를 즐깁니다. 도시에서는 봄나물을 먹거나 봄맞히 행사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볼 수 있고, 농촌 지역에서는 아직도 전통적인 입춘 풍습을 이어가고 있습니다.

💡중국도 우리나라처럼 입춘대길, 건양다경 같이 행운을 기원하는 문구를 문이나 벽에 붙이는 입춘첩 풍습이 있습니다. 

2. 일본

    • 콩 뿌리기: 일본에서는 입춘 전날인 '절분(節分,せつぶん)'에 다복(多福)과 건강을 염원하며  "복은 안으로(福は内)!귀신은 밖으로(鬼は外!)"라고 하면서 콩을 던지며 악귀를 쫓고 복을 불러들이는 마메마키(豆まき,콩 뿌리기)풍습이 있습니다. 
  • 에호마키: 절분에 길한 방향(恵方,えほう)을 바라보며 굵은 김밥( 太巻き)을 먹는 '에호마키(恵方巻き, えほうまき )'라는 풍습이 있습니다.

3. 베트남

  • Tet: 베트남의 설날인 'Tet'(뗏)은 전통적인 음력 새해를 기념하는 대표적인 행사로 입춘과 비슷한 시기에 있습니다. Tet축제는 섣달 그믐 전, 섣달 그믐 날, 섣달 그믐 이후 새해 첫날로 나누어 진행됩니다
섣달 그믐 전 👉Tet이 다가오는 취임 행사로, 부엌신 옹 따오(Ong Tao)를 기리는 의식을 진행합니다.
섣달 그믐 👉음력설 전날 자정에는 지난 해의 불행을 뒤로하고 다가오는 해의 축복과 선함을 맞이하기 위해 조상의 영을 위한 제단하늘과 땅을 위한 제단두 개를 세웁니다.
섣달 그믐 이후 음력 1월 1일부터 3일까지 3일간 Tet 기간을 진행합니다.
👉 Mùng 1 Tết cha : 한글로 해석하면 아버지를 위한 날로, 아버지 측(친가)의 친척집에 방문하는 날입니다.
👉 mùng 2 Tết mẹ : 어머니를 위한 날로, 외가 친척집에 방문하는 날입니다.
👉 mùng 3 Tết thầy : 선생님을 위한 날로, 선생님 댁에 방문해서 경의를 표하며 새해 복을 기원하는 날입니다.
  • 지역 별 Tet 전통 음식: 베트남은 북부, 중부, 남부에 따라서 Tet 때 먹는 음식이 나뉘어 집니다. 
북부 베트남 북부지방에서는 땅을 상징하는 사각형 모양의 떡인 반쯩 (Banh Chung)이 빼놓을 수 없는 Tet 음식입니다.
반쯩 뿐 아니라 쏘이걱(xôi gấc, 걱열매 씨앗으로 색을 낸 찹쌀밥), 넴(nem, 돼지고기 튀김 롤), 까인 망(Canh mang, 말린 죽순 스프 )을 먹습니다.
중부 바나나잎에 동그랗게 싸서 만든 떡인 반뗏 (Bánh Tét)을 먹습니다. 반뗏은 충만함과 완전함을 상징합니다. 
이외에도, 절인야채(절인샬롯(Dua hanh)/절인 부추(cu kieu)), 생선소스(느억 맘)에 절인 고기를 즐겨 먹습니다. 
남부 베트남 북부도 중부와 같이 반뗏을 먹습니다. 그리고 돼지고기 조림인 팃 코 따우(thịt kho Tàu), 여주 속을 파내고 고기를 채워 만든 수프(Canh kho qua)를 먹습니다. 

이 외에도 동아시아 지역 곳곳에서 입춘과 관련된 다양한 문화와 풍속이 전해져 내려오고 있습니다.

집에서 따라 하는 아시아 입춘 요리 레시피(3인분 기준)

①한국-비빔밥

재료

  • 밥 3인분
  • 고사리 150g
  • 도라지 150g
  • 시금치 150g
  • 당근 100g
  • 애호박 100g
  • 달걀 3개
  • 소고기(우둔살) 150g
  • 간장 2큰술
  • 참기름 1큰술
  • 다진 마늘 1작은술
  • 설탕 1작은술
  • 고추장 3큰술
  • 식초 1큰술
  • 깨소금 1큰술

만드는 법

  1. 고사리, 도라지는 물에 불려 삶은 후 간장, 참기름으로 양념한다.
  2. 시금치는 데쳐서 무치고, 당근, 애호박은 채 썰어 볶는다.
  3. 달걀은 황백 지단을 부치고, 소고기는 채 썰어 양념한 후 볶는다.
  4. 밥 위에 준비된 재료들을 보기 좋게 담고, 고추장, 참기름, 깨소금을 넣고 비빈다.

 

②중국-춘빙(春饼)

재료

  • 밀가루 300g
  • 뜨거운 물 150ml
  • 소금 1/2 작은술
  • 돼지고기(삼겹살) 200g
  • 숙주 200g
  • 부추 100g
  • 간장 2큰술
  • 굴소스 1큰술
  • 설탕 1작은술
  • 참기름 1작은술
  • 식용유 적당량

만드는 법

  1. 밀가루에 뜨거운 물과 소금을 넣고 반죽하여 30분 정도 숙성시킨다.
  2. 숙성된 반죽을 얇게 밀어 춘빙을 만든다.
  3. 돼지고기는 채 썰어 볶고, 숙주와 부추는 살짝 데친다.
  4. 춘빙에 볶은 돼지고기, 숙주, 부추를 넣고 돌돌 말아 먹는다.

③일본-에호마키 (恵方巻)

재료

  • 김밥용 김 3장
  • 밥 3인분
  • 오이 1개
  • 계란말이 1개
  • 참치 150g
  • 새우 150g
  • 표고버섯 100g
  • 간장 2큰술
  • 설탕 1큰술
  • 맛술 1큰술

만드는 법

  1. 오이, 계란말이는 길게 채 썰고, 참치는 기름을 빼고, 새우는 데친다.
  2. 표고버섯은 불려 채 썰어 간장, 설탕, 맛술로 조린다.
  3. 김 위에 밥을 얇게 펴고 준비된 재료들을 넣고 돌돌 말아 에호마키를 만든다.

④베트남-넴(Nem,돼지고기 튀김 롤)

재료

  • 돼지고기 다짐육 300g
  • 새우 150g (선택 사항)
  • 당근 100g
  • 양파 1개
  • 버섯 100g (선택 사항)
  • 달걀 2개
  • 라이스페이퍼 적당량
  • 튀김 기름 적당량
  • 소스 (느억맘, 라임즙, 고추, 설탕 등)

만드는 법

  1. 돼지고기, 새우, 당근, 양파, 버섯은 잘게 다진다.
  2. 다진 재료에 달걀을 넣고 잘 섞어 소를 만든다.
  3. 라이스페이퍼를 따뜻한 물에 적셔 부드럽게 만든 후 소를 넣고 돌돌 만다.
  4. 냄비에 기름을 넣고 넴을 노릇하게 튀겨낸다.
  5. 소스를 만들어 넴과 함께 곁들인다.

정리하자면,

입춘은 봄의 시작을 알리며 한 해의 건강과 행운을 기원하는 뜻깊은 날입니다. 한국과 아시아 여러 나라에서는 전통 풍습과 의례를 통해 따스한 봄 기운을 맞이하고, 각 지역 고유의 행사로 새해 복을 빌어왔습니다. 이러한 문화적 전통은 우리에게 새로운 시작의 희망과 기쁨을 선사합니다. 여러분도 이번 입춘을 계기로 한 해의 복과 번영을 가족과 함께 기원해 보시는 건 어떨까요?


참고자료

1. JIKEI 학원 COM 그룹  : 일본의 연중행사―2월 세츠분(節分-절분) 

 

일본의 연중행사|일본유학 JIKEI학원 COM그룹

일본의 연중행사ANNUAL EVENTS 2월 세츠분(節分-절분) 2월3일은 어떤 날인가? 2월3일은 「세츠분(節分-절분)」이라고 하여 좋은 일이 많도록, 그리고 병이나 나쁜 일이 일어나지 않도록 소원을

www.jikei.asia

2. Vinpearl닷컴 : 베트남 뗏 (설날): 베트남 전통의 핵심을 이해하기 위한 가이드

3. 베이징관광국 : 2020 입춘 立春은 2월 4일

4. 관행톡톡 : 관행 중국

 

관행 중국

봄의 시작 입춘(立春) _ 박계화 겨울만 되면 나는 언제나 봄을 기다리며 산다. 입춘도 지났으니 이젠 봄기운이 화사하다.                                  영국의 시인 바이론도 ‘겨울이 오

aocs.inu.ac.kr

 

 

© 2025 인프피간호사비니빈. All Rights Reserved.

반응형